코딩면접 질문 - java int와 long차이 프로그램에서 보통 1억번 연산을 1초 정도로 봅니다. 물론 복잡한 연산은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고 하드웨어가 더 좋다면 빠르겠지만 보통은 1억번에 1초로 봅니다. 그러면 40억번 연산을 하면 40초이고 50억번 연산을 한다면 50초입니다. 데이터가 아주 커진다면 40억개도 50억개도 될 수 있겠지요? 대한민국의 인구이동통계 2019년도 데이터 건수가 600만건이 넘습니다. 이 데이터를 가공 하려면 연산을 600만번만 할까요? 가공하려고 여러번 돌리다보면 40억번 50억번 60억번 연산도 하게 됩니다.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만약 배열을 60억개짜리를 만들고 싶다고 하면 int로는 60억개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java에..
코딩 면접 질문들 -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이미지를 요청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기까지 과정 면접 질문에 아래와 같은 질문이 나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씁니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이미지를 요청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기까지 과정을 설명하세요' 이 질문인데요 이걸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웹 브라우저가 url로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그리고 서버는 요청을 받고 해당 이미지가 있으면 이미지를 보내줍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텐데 이건 면접관이 의도한 정답은 아닌 것 같습니다. 실제 답변은 위 그림과 같이 복잡한 http통신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는대로 최대한 자세히 설명하라는게 질문의 의도였을 것입니다. 그냥 기술적인 내용만 쭉 쓰면 잘 이해가 안되므로 ..
코딩 면접 질문들 정리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6373453 파이썬으로 익히는 말랑말랑 알고리즘 - YES24 처음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는 초보자도 어려움없이 배우는 알고리즘 도서! 첫째, 이론과 예제 문제 모두, 초보자를 위해 차근차근! 탄탄하게 알고리즘 이론을 배우고,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할 www.yes24.com 코딩테스트를 준비하시기 막막 하시다면 '말랑말랑 알고리즘'책을 추천 드립니다. 자료구조 https://krksap.tistory.com/1706 서문 코딩테스트도 떨어질 수 있고 면접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IT업계에 살아가는 여러분들 함께 힘을 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이 길이 맞다고 생각해서 발을 들였습니다. 0과 1만 ..
분사 이건 그냥 갔다 붙히면 되는건지 여기저기 엄청나온다 형태가 있기나 싶을정도로 다양해서 문제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participle을 분사로 번역 해놓았는데 종류로는 현재 과거 두가지가 있어서 현재분사 과거분사 이렇게다. 학교 다닐 때 be + pp라고 수동태 만들때 쓴다고 배웠는데 pp는 past participle였다는걸 이제야 알았다.분자는 나눌분자다. 원래 단어가 가진 의미를 그대로 번역을 해놓은 것 같은데 왜 분사일지는 잘 바로 떠오르지가 않는다.분사는 동사를 가지고 형용사 역할을 하는 단어라고 한다. game '게임한다'를 예를 들면 gaming '게임하는' 이런거? study 공부한다는 studying공부하는 이런건데동사에 -ing를 붙히는건 현재 진행형인데 gaming은 '게임하고 ..
전치사 = 앞에 오는 말 전치사는 proposition(프로포지션)을 번역한 말입니다. 원어를 읽어보면 pro자가 붙어서 뭐뭐 앞에 있는걸 뜻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치사(前置詞)'라는 단어의 '전'자는 한자의 '앞 전'자 입니다. 무언가 앞에 붙는다는 것을 짐작 해볼 수 있습니다. 전치에서 '치(置)'자는 앞에 위'치'할때 그 '치'자 입니다. 번역은 나름 잘 해놓은 것 같다. 전치사는 '앞에 오는 말'입니다. 무엇의 앞에 오는 말일까요? 여기서 의문이 생기는 것이 '앞에 오는 말'이면 무엇의 앞에 오는 말일까요? 찾아보니까 '명사'나 '대명사'앞에 온다고 합니다. in a box 어떤 박스 안에 있는 것 in the box 내 방에 있는 어떤 박스 안에 있는 것 in, on 이런게 전치사(..
소유격은 possessive를 번역한 말이다. 포제시브는 가진다 라는 뜻이 있는걸로 추측 해볼 수 있다. 명사의 소유격을 표현하는 방법은 뒤에 's (스)를 붙히거나 of (오브)를 붙히면 된다고 한다. Kyeongrok's 경록스, Lord of rings 로드 오브 링스 반지의 제왕, The King of fighters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싸움꾼 의 왕 이런 식이다. 소유격에서 나오는 격은 格 격식 격인데 소유격은 '명사가 무엇을 가지는 것을 표현한 모양'이라고 볼 수 있겠다. 흠.... 어렵다 end.
문제를 풀다보니까 '자동사'라는게 나오는데 이게 수동태가 불가능 하다고 한다. 영어를 배우는데 영어보다 한글을 더 많이 쓰는것 같아서 ㄹㅇ 찝찝하긴 한데 교재가 다 이모양이니 어쩔수가 음슴 자동사는 intransitive verb 를 번역 해놓은 말인데 한글로 써있다 뿐이지 자동사란 말의 의미를 아는데는 넘나 부족하다. intransitive 자체도 사전을 찾아보니까 문법용어다. '자동' auto를 표현한 말로 보인다. 뭐가 자동이냐면 스마트한 경록김 할때 스마트에 해당하는 형용사랑 경록김에 해당하는 명사가 자동이라고 한다. 왜 이렇게 번역 해놨는지 잘 모르겠다. in은 부정의 의미이고 trans는 바꾼다는 뜻으로 많이 쓰는것 같은데 왜 자동인건지? 문제에 나온 take place가 자동사인데 '놓다' ..
'산타 토익'이라는 앱을 깔았다. 머신러닝을 이용해 사용자가 어디가 약한지 진단해주고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알려주는 앱인데 내가 토익점수가 필요했는데 딱 필요한 앱인것 같다. 그런데 문법용어가 넘나 어렵다. 이런걸 중고딩이 배운다니... ㄷㄷ그래서 내가 영어공부를 잘 못했나보다. 이제와서야 좀 이 문법 용어들에 대해 한번 찾아보거나 생각해볼만한 이해력이 생긴것 같아서다. 나는 다시 어린시절로 돌아간다면 이런걸 내가 잘 할 수 있을지 정말 의심스럽다.여기 보니까 '주격 관계 대명사'란 말이 나오는데 여기서부터 숨이 턱턱 막힌다. '관계대명사'라는 말도 어려운데 앞에 '주격'이 붙으니까 흠... 근데 영어를 이렇게 배워도 되나 싶은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일본어를 번역해놓은거라 그런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docker container whale
- 도커티슈케이스
- docker container case
- vim
- docker container tissue
- shellscript
- Linux
- docker container tissue box
- 싱가폴
- 개발자
- 도커티슈박스
- 2017 티스토리 결산
- 이직
- docker container
- 도커각티슈박스
- Sh
- 도커각티슈케이스
- 도커컨테이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