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vim-cmp란?nvim-cmp는 lsp기반 자동완성 플러그인 입니다. 제 경우에는 Vim으로 코딩을 할 때 다른 IDE로 넘어가게 되는 지점이 '자동완성'이었습니다. 저는 IntelliJ의 Ideavim정도만 쓰다가 Linux환경에서 Vim으로 개발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만났습다. 예를 들면 Shell script를 작성 하는 작업이라던지 리눅스에서만 지원하는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써야 할때 였습니다. 이 때는 IntelliJ를 쓸 수는 없고 Vim으로 코딩 해야했습니다. 이럴 때 '자동완성'기능이 너무나 아쉽습니다. 하지만 vim에서 자동완성 기능을 구글에 검색 해보면 설정하는게 한글로 된 문서가 별로 없고 요즘은 잘 안쓴다는 coc, youCompleteMe 등에 관한 포스팅만 있어서 세팅을 못하고 ..

ideavim 세팅을 하다보면 Action Id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set trackactionids 를 쓰면 다음과 같이 우측 하단에 어떤 액션을 할 때마다 아이디가 표시되며 복사도 할 수 있습니다. 액션 ID표시 활성화방법1 :set trackactionids 방법2 Shift + Shift를 눌러서 나오는 검색창에 Track Action 검색 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끄려면 한번 더 누르면 됩니다. 활용 ctrl + shift + f10을 rr 로 매핑매핑 해놓으면 좋은점은 function key까지 손을 안뻗고도 실행을 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ctrl + shift + f10의 action id는 ChooseRunConfiguration 입니다. 디버그 모드는 Ch..

xshell쓰다가 wezterm으로 바꾸었습니다. 바꾸게 된 이유는 xshell과 vim이 단축키가 겹쳐서 입니다. vim을 많이 쓴다면 wezterm이 xshell보다 체감상 더 편합니다. 무료이기도 하구요. 설정위치설정파일은 처음에는 안만들어져있고 위치는 다음과 같이 지정 해주어야 합니다.$HOME/.wezterm.lua 코드local wezterm = require 'wezterm'local config = { color_scheme = "catppuccin-frappe", font_size = 14.3, cell_width = 1, -- PragmataPro adjustment line_height = 0.84, -- PragmataPro adjustment enabl..
와이프와 저는 눈을 떠보니 애기 둘 엄빠가 되어 있었습니다. 이하는 음슴체로 와이프랑 나는 애 둘을 보기 힘들었지만 열심히 보다가 첫째가 두돌이 되어 얼집에 보내기로함자꾸 힘들다구 하니까 보내라고들 주변에서 얘기함보내면 신세계라고 했음.나도 매우 보내고 싶었음 하지만 부모님들은 극구 말림 특히 아버님이 계속 반대함 감기걸려와서 맨날 병원간다고아빠는 애도 안보면서 못가게 한다고 귓등으로도 안듣고 24개월 된 첫째를 얼집에 보냄잠깐 편한 듯 했음무려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애가 집에 없어서 와이프가 쉬면서 회복을 하니까 나의 퇴근 후도 편해짐. 어린이 집은 환경 친화적이고 엄마 아빠의 부실한 놀이 컨텐츠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놀이 거리도 아주 많고간식도 잘 챙겨주고 밥도 균형잡힌 식단으로 해주고 낮잠도..
'개발자는 만들라는 물건이나 잘 만들면 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개발만 잘 돌아가게 하는 것도 머리가 충분히 아프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리팩토링이나 기능 개발이나 테스트 코드 개발 같은 것들을 하면 오히려 머리가 맑아질 지경입니다. 우리 회사에서 요즘 하고 있는 것은 ESG의 한 부분 입니다.ESG는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의 약자라고 합니다. 앞으로 ESG고려 안하는 기업의 물건은 안사주고 투자도 안해준다는 트렌드 입니다. '기업이 돈만 잘 벌면 되는거 아니냐?' 했는데 앞으로는 돈만 벌고 환경, 사회 등을 신경 안쓰면 물건 안사주겠다는 것입니다. 개발도 머리 아파 죽겠는데 ESG관련된 제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나는 ..

이제 곧 저의 4번째 책이 나옵니다. 아니 음.. 뭐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는 Java책 입니다. 이 포스트는 다음에 나올 책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고 바로 앞전에 썼던 3번째 책인 '말랑말랑 알고리즘'이라는 알고리즘 입문서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오래전 그러니까 제가 결혼도 하기 전 지금으로부터 7년 전 입니다. 2017년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고 이직을 알아보는데 '코딩테스트'라는 것을 갑자기 보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처음 취직 했을 때는 이런거 없었던 것 같은데 갑자기 구글의 영향으로 코테라는 것을 마주 했던 저는 너무나 무력감에 빠졌습니다. 한 5년차쯤 나름 잘한다고 생각하고 다니던 회사를 박차고 나왔는데 그 당시의 저는 회사 입장에서는 딱히 뽑고 싶지 않은 5년차개발자 였던 것 같습니다. 알..

Fugitive Git이란?https://github.com/tpope/vim-fugitive GitHub - tpope/vim-fugitive: fugitive.vim: A Git wrapper so awesome, it should be illegalfugitive.vim: A Git wrapper so awesome, it should be illegal - tpope/vim-fugitivegithub.com Vim에서 Git을 편하게 쓸 수 있게 해주는 도구 중 많이 쓰이는 플러그인 입니다. stage, diff, commit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Stage보기 :G수정 후 다음과 같이 :G를 입력 하면 Stage에 올리고 내리고 할 수 있습니다. 수정한 파일이 Unstaged에 나옵니다.여기..
어제 와이프님께서 DB자격증 시험을 신청 하셨다고 해서 같이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올립니다. 물론 저도 '정규화'에 대한 이론을 대충 훓어서 시험을 본 후 실무에 적용하는데는 몇년이 걸린 것 같습니다.ㅜㅜ DB이론은 실무가 먼저 있고 실무의 패턴을 이론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이론부터 접근하려고 하면 실무가 잘 안풀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국은 이론대로 가지만 실무의 출발은 이론대로 시작하게 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1차 정규화1차 정규화는 다음과 같이 컬럼에 값이 두개가 들어있으면 1차 정규화 위반입니다. 경험이 조금 있으면 이 원칙에 대해 잘 몰라도 위반 할 일이 별로 없습니다. 다음 게시판에서 usre_id가 2개가 들어있는 레코드가 있는데 이것이 1차 정규화 위반입니다. 설계 없이 급하게 ..

which-key란?which-key는 leader-key에 매핑한 명령들을 보여주는 기능 입니다. intellij에서도 플러그인으로 쓸 수 있습니다. leader key에 매핑한 명령어들을 익숙해질때까지는 가이드를 보면서 쓰면 다 외우지 않아도 됩니다. leader keyleader key는 기능을 연계해서 쓸 수 있는 트리거 키 입니다. 기본값은 \ 인데 보통은 space로 바꿔서 지정 합니다. leader key를 space로 바꾸는 것은 .ideavimrc에 다음 한 줄을 추가 하면 됩니다.let mapleader = " " .lua는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vim.g.mapleader = ' ' 과정은 다음 두 단계 입니다. IntelliJ Plugin설치IntelliJ에 적용 하려면 whi..

개요 LazyVim은 다양한 플러그인이 설치된 통합 nvim패키지 입니다. 그런데 한줄 추가하면 설치 되는 vim에 비해 추가로 플러그인을 설치하려면 좀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과정을 정리 해봅니다. 과정 설치할 플러그인은 Bookmark플러그인으로 다음 링크에서 설치 메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crusj/bookmarks.nvim GitHub - crusj/bookmarks.nvim: Remember file locations and sort by time and frequency and support telescope. Remember file locations and sort by time and frequency and support telescope. - crus..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직
- 도커티슈케이스
- shellscript
- 싱가폴
- vim
- docker container tissue
- docker container
- 도커컨테이너
- docker container whale
- Linux
- 도커각티슈케이스
- 2017 티스토리 결산
- docker container tissue box
- docker container case
- 개발자
- Sh
- 도커각티슈박스
- 도커티슈박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