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큐센 Q87 PBT 크림치즈 - 크림치즈 축 구매 했습니다.

 

저는 키보드 전문가는 아니고 VIM + 세벌식 쓰는 개발자 입니다. 회사에서는 로지텍 마우스 포함된 3만 얼마짜리 저렴한 키보드 쓰고 있습니다. 키보드는 하루종일 붙잡고 있습니다. 써본 모델은 '콕스 CK87', 'AULA F87 Pro', 이번에 구매한 큐센 'Q87 PBT' 이렇게 세가지 입니다. 세가지 제품에 대한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이전에 콕스 CK87을 8만원 정도 주고 사서 잘 쓰다가 독거미 키보드가 좋다고 해서 구매를 했는데 신세계였습니다. COX CK87은 너무 통통통 울립니다. 별로 상상하고 싶지 않은 키감입니다. 이후에는 가스켓 키보드 아닌건 쓰고 싶지가 않았습니다.

 

집에 PC를 한대 더 들이게 되어 옛날에 넣어놓았던 콕스 CK87을 꺼내서 쓰는데 쓸때마다 통통거리는 소리 때문에 스트레스 받아서 키보드를 한대 더 구매 해야겠다고 2~3시간 알아봤습니다.

Q87 PBT 배송 받고 바로 다시 케이스 행이쥬?

 

 

독거미 키보드 AULA F87 PRO를 써봤으니 F99 PRO를 살까 하다가 저렴한데 비슷하다고 하여 큐센 Q87을 구매 했습니다. 독거미 키보드는 워낙 유명하고 가성비가 좋아서 저도 두 대나 구매해서 쓰고 있었습니다. F87 PRO를 또 구매 하려고 찾아보니 쿠팡에서는 5만원쯤 하고 2대나 구매 했으니 다른 것도 써보고 싶었습니다. 그러다 발견한 것이 '큐센 Q87'입니다. 키보드를 써보기 위해 리뷰를 쓰고 있는 지금 시점 큐센 Q87 PBT 매우 만족합니다.

 

다양한 색상이 있었고 축도 다양한게 있더라구요 저는 그냥 가장 저렴한 크림치즈 모델로 샀습니다. 축이 저소음 바다소금축인가 옵션으로 있었는데 7천원 더 비싸서 그냥 이걸로 샀습니다.

 

 

메뉴얼입니다. 독거미 키보드는 검색하면 메뉴얼이 번역된것까지 바로바로 검색 되는데 Q87 PBT는 검색이 안되서 제가 올립니다.

 

사진이 좀 안나왔는데 fn + Insert, fn + Delete 로는 LED모드 전환이고 fn + 위, fn + 아래로, 좌, 우로 led 밝기, 속도 등을 조정 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메뉴얼 입니다. ESC키 옆에 표시등 설명이랑 FN + P누르면 배터리 잔량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FN + P는 USB케이블 뽑아야보입니다.

 

 

가격 42,300원

 

 

 

독거미 키보드와 비교했을 때 장단점

독거미 키보드보다 Q87 PBT의 장점은 한글 인쇄가 되어 있고 키캡이 PBT라는 것입니다. 기계식 키보드 쇼핑을 많이 해보셨으면 잘 아시겠지만 처음 듣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드리면 PBT는 쉽게 말해 강화 플라스틱입니다. ABS에 비해 표면이 조금 까끌까끌 합니다. 한글 각인의 경우는 저는 한글이 같이 써있던 영어만 써있던 전혀 신경을 안쓰지만 필요하신 분들은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독거미 키보드의 ABS키캡에 적응이 되어 있어서 그런지 ABS가 더 마음에 들었어서 이 키보드를 처음 받았을 때는 조금 실망 했습니다. 제품명에 PBT라고 써있는데 메뉴얼에는 PBT가 뭔지 언급도 없어서 인터넷 검색 해보니 PBT가 ABS보다는 더 좋은 거라고 설명이 되어 있었습니다. 관계자분께서 보신다면 PBT 키캡에 대한 자랑좀 메뉴얼에 써주시면 더 좋지 않을까 싶네요.

 

설명을 듣고 보니 독거미의 ABS보다 PBT가 더 괜찮다고 느껴졌습니다. PBT를 써보니까 ABS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보이는 것 같네요. 독거미 키보드의 아킬레스건이 키캡이 PBT가 아니고 ABS라는 것이죠.

 

큐센 Q87과 AULA F87 Pro를 비교 해서 정리를 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큐센 Q87 PBT AULA F87 Pro
키캡 PBT(더 좋음) ABS
백라이트 덜 화려함 화려함
가격 42,300원(저소음 45,900) 50,200원
한글인쇄 O X(정발은 있음 제껀 정발 아님)
잡기능(LED관련 기능 등) 별로 없음 더 많음
포함된 USB선 짧음

 

LED는 독거미 키보드에 비해 현저히 좋지 않습니다. 독거미 키보드를 써보셨다면 Q87 PBT의 LED는 없다고 생각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배터리 때문에 그리고 정신 없어서 독거미 키보드 LED끄고 씁니다. 처음 받았을 때 LED모드 바꿔보고 이것저것 눌러보고 그런 잠깐의 재미가 있긴한데 게임하거나 업무 할 때 키보드 바라보면서 하지는 않지요. LED켜져 있는지도 모를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잠깐의 감성 보다는 실용적인 것을 추구한다면 LED의 중요도가 그렇게 높진 않은 것 같습니다.

 

Q87 PBT는 LED쪽에 원가를 절감한 대신 키캡을 PBT로 해서 가성비를 좋게 한 것 같습니다.

 

빨간색은 켜놓으면 조금 봐줄만 합니다. 다른 색상은 개인적으로는 별로네요. 비교를 위해 지금 독거미 키보드의 LED를 다시 켜서 보고 왔는데 그냥 Q87은 흉내만 냈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종 의견

이 다음에 회사에서 쓸 키보드를 한대 더 구매 한다고 하면 저는 'Q87 저소음 바다축'으로 구매 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 '크림치즈' 축을 구매 했는데 독거미 키보드 회색축하고 비슷한 것 같네요. 회사에서 쓸려면 조금 더 소리가 작아야 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다음에 구매를 Q87로 한다는 결론을 낸 것의 근거는 키캡이 PBT라는 것에 점수를 많이 줬구요 가격도 4만원 초반대인것도 가산점을 많이 줬습니다.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