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ostgreSQL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MySql에 비해 join을 할 때 속도가 더 빠릅니다. 그래서 복잡한 쿼리가 많은 경우 MySql보다는 Postgre를 사용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제가 이용한 버젼은 Postgre 13 윈도우 버전 바이너리 입니다.(instller아님) 아래 링크에서 받았습니다.
www.postgresql.org/download/windows/
install버젼은 설치하고 다 쓰고 지워야 하고 윈도 부팅할 때 메모리에 계속 올라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포터블 버젼으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저는 압축을 c:/pgsql에 풀었습니다.
압축 푼 디렉토리의 /bin으로 들어가면 initdb.exe가 있습니다.
initdb.exe -U root -A password -W -E utf8 -D c:/pgsql/data 저는 이 명령어를 이용해 db를 초기화 한 후 실행 했습니다.
-U 옵션에 root라고 하면 admin id가 root가 됩니다. 보통은 postgres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pg_ctl -D c:/pgsql/data -l c:/pgsql/log start
pg_ctl -D c:/pgsql/data -l c:/pgsql/log stop
위 명령어를 이용해서 db서버를 띄우고 내릴 수 있습니다.
velog.io/@jisoo1170/Oracle-MySQL-PostgreSQL-%EC%B0%A8%EC%9D%B4%EC%A0%90%EC%9D%80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yunggyu&logNo=6019092007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를 참고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docker container whale
- vim
- 도커각티슈케이스
- docker container case
- docker container
- 도커티슈케이스
- Linux
- docker container tissue box
- 2017 티스토리 결산
- 도커각티슈박스
- shellscript
- 싱가폴
- 도커티슈박스
- 이직
- 개발자
- 도커컨테이너
- Sh
- docker container tissu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